학점은행제 하는법 비용 , 교육기관, 수강신청
성소장 연구소

직업상담사, 평생교육사의 하고싶은일, 좋아하는일 찾기

교육정보/학점은행제

학점은행제 하는법 비용 , 교육기관, 수강신청

성민호 연구소장 2020. 1. 28. 17:34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성민호 연구소장.

성소장입니다.

오늘은 좀 원초적인 질문에 대답을 하기위해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교육정보와 관련된 주제이긴 하지만,

어떻게 보면 사람의 신뢰와 믿음에 대한 이야기 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불신을 가지고 살아갑니다.

대부분의 불신은 오해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그 오해는 사소한것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전 원격평생교육원의 담당자로서 근무를 하고있습니다.

업으로서 이 일을 하고있기에, 책임감을 가지고 일한지는 꽤 되어갑니다.

상담을 하다보면 여러가지 사연들을 듣게 됩니다.

학업을 병행함에 있어서 학습자와의 소통은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시작하기에 앞서서 학습자 개개인에게 맞는 학습과정을 제시해야만 하기때문에

"상담"이란 상호소통과정은 필수적인 요소인 셈입니다.

그중에서 상담을 하면서 제가 가장 많이 듣는 질문일겁니다.

"정식으로 인정받은 교육원인지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수강을 하면 인정받을수 있는곳이죠?

한번 물어보고 또다시 되뇌이듯 확인을 하게됩니다.

물론 당연한 절차입니다. 인터넷에서 접할수 있는 피해사례라던지,

다른사람도 아닌 본인이 해 나가야할 과정인데, 신중한 결정을

내리는것은 의무이자 곧 권리인 셈입니다.

하지만 씁슬한것은,

교육제도 자체, 그리고 교육원이라는 교육기관의 신뢰도가

높진 않다는것을 느낄수 있습니다.

1. 사회적인식.

사회적인 인식도 한몫하는것 같습니다.

법적으로는 정규대학과 동등한 학력이지만,

"동등하다"는 것은 "같다"라는 말과는 엄연히 다른말입니다.

분명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것 이겠죠.

최근 사회에서 누군가를 대놓고 무시하고, 핍박을 준다 라고 한다면

가해자는 당연히 처벌을 받습니다.

즉, 사회적인 국민의식자체는 과거보다 높아지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무서운건 "대놓고"가 아니라,

은근히 혹은 돌려서 말하는게 더 무서운법이죠.

명문대를 졸업한 사람은 "학벌"이 곧 스펙이 됩니다.

좋은대학교를 졸업했으니 우수한 인재라는 인식이

깔리게 되는것이죠.

학점은행제로는 "학벌"을 기대하는것이 아닙니다.

"학력"을 갖추는것입니다.

때문에 명문대를 졸업한 사람과 똑같은 학벌의 대우를

바라는것 자체가 잘못된 착각 이라는것입니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학점은행제 학위로

학력을 갖추었다고 해서 우수한 인재가 아니라는것은

절대로 아닙니다.

분명 "학벌"이라는 요소의 차이점은 존재하겠지만,

그 차이점은 충분히 "실력"으로 메꾸면 되는 일입니다.

명문대를 졸업했다고 해서 모두다 일을 잘하거나

실력이 뛰어난것은 아니기 때문이죠.

즉, 사회적인식이라는 보이지 않는 벽은 충분히 본인 노력여하에

따라 철저히 깨버릴수 있습니다.

2.무분별한 광고.

사람들은 본인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원합니다.

내용은 쓸데없는 정보로 가득차있고

정작 실속있는 정보는 티끌 밖에 없다라고 하면

결론적으로는 유익한 정보는 아닌셈이죠.

학점은행제의 과대광고, 무분별한 홍보가 그렇습니다.

인터넷만 검색해봐도 알수있죠.

그리고 제도의 개념이 통일되어야 하는데,

통일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이제 막 제도를 접하는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혼란스럽고 , 신뢰성을 잃을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이런 결론에 도달하게 되는것입니다.

"학점은행제 믿을만한 제도인가"

라고 말이죠.

이 질문에 답변을 드리자면,

당연히 믿을만한 제도이며 매해 이 교육제도를 활용하여

학위를 수여받아 학력을 갖추거나, 자격증, 편입, 대학원 진학을 하는

사례들을 흔히 접할수 있습니다.

즉, 취지에 맞게 활용한다면 아주 활용성이 높은 교육제도입니다.

3.취지에 맞게 활용하려면.

본인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잘 파악해야합니다.

학점은행제를 활용하면 다른 방법보다 더 쉽고 빠르게

목표 지점에 도달할수 있지만 사회적인식, 고집 등에 의해서

고사를 하는경우도 종종 볼수 있습니다.

쓸데없는 아집은 버리는게 좋습니다.

인생은 "새옹지마"라고 했던가요?

미래는 알수가 없는 법입니다.

결국 목표지점에 가기위한 과정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과정이

보다 효율적이다 라고 한다면

수용하고 시작하는것이 현명한 방법일 것입니다.

모든 인간의 행동은 기회, 천성, 충동, 습관, 이성, 열정, 욕망의 일곱 가지 중 한 가지 이상이 그 원인이 된다.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그리스 철학자

 

💁상담원 채팅 : 편리한 상담을 받아보세요

 

학점은행제정보공유소

성소장 연구소 (YouTube) 교육정보 커뮤니티

pf.kakao.com

 

728x90
반응형
LIST
사업자 정보 표시
성소장 연구소 | 성민호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천로 83-1 | 사업자 등록번호 : 891-52-00633 | TEL : 010-3187-0919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