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성소장 연구소 입니다.
2030 유망 직업,
'스마트 헬스케어전문가'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하는 일
스마트헬스케어는 IT와 의료가 결합된 서비스로,
건강 관련 데이터, 플랫폼, 디바이스 등과 관련된 첨단기술 분야이다.
스마트헬스전문가는 개인이 일상생활에서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활동,
즉 체력 증진에 도움이 되고, 정신건강과 외모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활동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한다.
이에 헬스케어 앱을 개발하거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종사 현황
스마트헬스케어전문가는 웨어러블 기기를 비롯해 스마트헬스 기기 개발업체 및 연구소,
애플리케이션 개발업체, 의료기관, 빅데이터 분석업체 등에서 종사할 수 있다.
관련 자격
스마트헬스케어와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국가자격은 없으나,
정보처리기사(산업기사), 전자기사(산업기사), 전파전자통신기사(산업기사),
정보통신기사(산업기사) 등이 해당될 수 있다.
관련 협회
한국스마트헬스케어협회,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 스마트헬스케어종합지원센터 등이 있다.
💁상담사 채팅 : 차별화된 전략 남다른 스펙을 만들다
학점은행제정보공유소
• 성소장 연구소 : 1:1 맞춤 상담 • 직업상담사 & 사회복지사ㅣ• 친구 추가 후 상담 요청
pf.kakao.com
2. 교육 및 훈련
IT와 의료 분야가 융합된 직업이므로 컴퓨터공학, 정보통신공학,
의학, 약학, 생체공학, 의료공학, 통계학, 수학, 영양학, 운동학 등 다양한 전공자들이 진출하고 있다.
대학 및 관련학과
3. 향후 전망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의료비 절감과 치료의 효율성을 위해
스마트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굳이 병원에 가지 않고도 개인이 모바일 등을 활용하여 혈당 수치, 혈압,
중성지방 등을 관리할 수 있어 건강관리를 스스로 할 수 있고
만성질환을 조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스마 트헬스 시장도 점차 커지고 있고 주요 대기업을 비롯해 스타트업의 창업도 활발하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헬스케어 서비스의 고도화도 가속될 전망이다.
성소장 x YouTube
'직업정보 > IT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30 직업 추천 : 스마트팜 구축가 -5 (0) | 2022.03.30 |
---|---|
2030 직업 추천 : 사이버포렌식전문가 -4 (0) | 2022.03.29 |
2030 직업 추천 : 빅데이터 전문가 -2 (0) | 2022.03.25 |
2030 직업 추천 : 감성인식기술전문가 -1 (0) | 2022.03.24 |
소프트웨어 개발자 : IT취업 분야와 전망 -10 (0) | 2022.03.04 |